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연준기준금리인상] 미국의 고물가 현상과 미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by 경제지표스토리텔링 2022. 9. 22.
728x90

1. 미국의 고물가 현상과 통화정책 개관(overview)

2022년 9월21일에 미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여 미국 기준금리는 3% ~ 3.25% 수준이 되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은 2022년 3월부터 기준금리 인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미국의 고물가 현상때문입니다.
미국 물가는 2021년 3월에 2.6%를 기록한 후 2021년 5월에 5%로 급등하였고 다시 2022년 3월에는 8.5%까지 급등세가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물가 급등 과정에서 미국 중앙은행은 2021년 5월 이후 미국 물가가 5% 수준에 머물던 시절에 미국 물가 급등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고 이에 물가 급등 현상에 대한 아무런 정책 대응을 하지않고 다만 물가 실적 수치가 저감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미달러 강세를 유도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물가는 2022년 3월부터 8%를 넘어서게 됐고 이에 미국 중앙은행은 2022년 3월부터 미국의 고물가를 제어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2. 미국 고물가 현상 제어를 위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율 변화 특징

위 자료는 파란 선으로 미국 기준금리와 검정 선으로 미국 인플레이션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참고로 인플레이션율을 한국어로 물건가격이라고 말하며 이를 줄여서 물가라고 표현합니다.
위 자료에 3번과 4번으로 명기한 회색 박스 기간을 보면 검정 선으로 나타낸 미국 물가가 3%에 도달하거나 3%를 넘어서는 현상이 발생했고 이에 미국 중앙은행은 파란 화살표로 표기한 것과 같이 기준금리 인상을 진행하여 물가의 상승세를 제한하였습니다.
중앙은행이 물가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상승세를 제한하는 이유는 물건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이러한 물건을 만드는 기업들은 작년과 동일 물량을 판매할 경우 물건가격 상승으로 인해 매출액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런데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물가 상승 현상이 발생할 경우 기업들의 매출액은 증가되지만 물가 상승으로 인해 물건을 만드는데 필요한 원자재들의 가격이 상승하여 이익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물가 상승률에 비례하여 임금 상승도 진행되면서 적정 수준 이상의 물가는 실물 경제의 침체 현상을 유발할 수 있기에 중앙은행은 적정 수준 이상으로 물가가 상승할 경우에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상승세를 제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제 사례를 위 자료에 3번과 4번 기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 자료에 1번으로 명기한 2008년 전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은 검정 선으로 표기한 물가가 상승하는데 파란 선으로 나타낸 기준금리는 제로 수준에 위치하고 있었고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검정 선인 물가가 3%를 넘어섰다가 이후 하향 안정화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다시 말해, 물가가 3%에 도달하거나 3%를 넘어서면 미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상승세를 3번과 4번 기간에는 제어를 했는데 1번 기간에는 물가가 3%를 넘어섰음에도 금리 인상을 진행하는 않았고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하향 안정화되는 특이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3. 뒤늦은 미연준의 고물가 대응 원인

위 자료 우측에 2번 기간을 보면 미국의 물가는 2021년 2.6%를 기록한 후 2021년 5월에는 5%로 급등했고 2022년 3월에는 8.5%까지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앙은행은 제로 수준 기준금리를 유지했고 2022년 3월 말에서야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했습니다.
왜 이 기간에 미국 중앙은행은 미국의 물가가 3%를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미국 물가가 8%를 넘어선 2022년 3월에서야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것일까요?

이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위 자료에 1번으로 표기한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에 미국 중앙은행이 제로 금리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물가가 3%를 넘어섰다가 하향 안정화된 현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 미국 인플레이션율 급등 현상과 미국 기업이익
https://economyindicatorsstorytelling.tistory.com/5


728x90

댓글